생활의 지혜2019. 10. 16. 13:31

 

반일종족주의는 일제시대때 조선인이 강제징집을 당했다는 설과 달리 조선인들은 일본군 모병에 참여했다고 서술했다.
과연 그럴까?

 

1937년 중일 전쟁의 발발

중일전쟁

1937년 7월 중일전쟁 발발했고 일본은 조선인 특별 지원병제를 운용하기 시작했다.
일본 내각은 그 해에 조선인 특별 지원병제 실시를 결정(1937.12.24) 했으며 1938년 2월 26일자 조선 총독부 관부에 칙령 제 95호로 '육군 특별 지원병령'으로 공포했으며 지원 자격은 17세 이상의 제국신민(조선인)이였고 지원자들은 이력서. 자산 및 소득증빙서류,시장군수 또는 읍면장의 보증서 신체검사등의 서류를 갖춰서 제출한다. 

 

조선 총독부 1938년 2월 26일 관보 

까다로운 검증과정


먼저 일본은 지원자들 선발하는데 있어서 꽤 보수적으로 운용했던것으로 보인다.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면 응모제도 전형을 발표하고 지원자를 모집(자발,동원등)하여 도지사가 1차 전형(신체검사,구두시험,학과시험)을 통해서 필터링을 한다.
선발과정은 기관으로 하면 3차 검증과정이 있었고 입영까지는 4개의 과정을 거친다. 

 

1. 도지사  --> 총독부 --> 조선군 사령부 
2. 지원자 --> 적격자 ---> 입소자 ---> 입영자

군에서 2차 전형(1차와 비슷)을 하고 최종적으로 합격자를 선발하여 합격자를 발표한다.

군측에서는 무엇보다도 항일의식등의 이유로 사상에 대한 검증이 매우 중요했다고 판단한다.
항일의식이 있는자가 탈영하여 광복군으로 편입된다면 문제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본 육사출신들이 탈영하여 광복군등의 항일 활동하는것을 경험한바가 있기에 일본군은 검증을 꽤 엄격하게 했다고 본다.  모집 선발 과정에서 심층적인 사상검증를 했다는건 일본군 되기가 그렇게 쉽지 않았다는 증거인셈  

 

출처 - 전시기 육군 특별 지원병제의 추계와 분석 (정안기) 



지원자에 대한 면담을 통해서 심리상태에 대한 데이터까지 기록할 정도니 마구잡이로 끌어 들였다고 해석하는 것은 피해자 코스프레를 위한 정보조작이라고까지 생각한다.
정말 강제동원으로 80만이 지원 했다면 전수조사까지 해가면서 검증작업을 했던 일본군 입장에서는 행정낭비이며 위의 도표를 근거로 해도 상당한 이들이 자발적으로도 지원을 했다고 볼수 있다. 

 

1940년 동아일보 기사에서만 혈서 지원자가 110명(한해에만)이나 있었다는건 꽤 충격적이다. 

 

조선인 누가 지원했는가?

조선인 신검


조선인 특별 지원병 제도 운용당시 대부분의 최종 입소자들의 나이는 18세에서 23세 미만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대부분의 학력은 소학교 졸업자 출신들이며 농업 종사자들이 50% 정도였고 일부분 경제적으로도 안정적인 직장인들도 지원했다.  

조선인 특별 지원병들은 대부분은 사병들이며 이후에 등장하는 학병들은 장교들이다. 배우고 못배우고에 따라서 지원병들은 동원된 학병들만도 못한 계급적 차별을 받은듯 하다. 

 

 

받아 들이기 불편한 숫자

역사 교과서라든지 학자들은 절대로 비교수치를 공개하지 않는다. 그저 항일 의지를 기리기 위해서 정신적인 측면이나 의의만을 강조할뿐, 수치적인 데이터를 제시하지 않는다 그러니 급식들이 편협한 사관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역대 조선인 특별지원병 응모자수 80만이 아닌 최종 합격된 조선인들로만 1938년부터 1943년까지 총합해도 조선 본토인들의 생각을 읽을수 있다.
재미있는것은 조선 교육령 창씨개명 조선인 특별 지원병제가 일본의 3대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서 동시기에 실시 되었다는 것이다.   

1940년 창설부터 1945년 까지 3월 광복군수는 339명
1938년 시행부터 1943년 일본군 지원자는 80만3천명  최종 합격자 1만 6830명 

 

광복군(좌) / 조선인 특별 지원병(우)  

1940년 지원열기

1940년 동아일보 기사를 보면 당시의 시대상을 볼수있는 내용들이 있다.  이들을 단순하게 친일파라고 매도할수 있을까? 20대 청년 입대 적령기가 주류였고 이들이 태어난 시기에 조선이란 나라는 없었다. 
조선인 왕공족들은 내선일체에 협력을 했고 일본군 고위 장교들 이였다. 이들을 단순하게 친일파로 본다면 조선은 친일 일색이 되어 버린다.  지원자들을 일본인들의 차별을 이겨내고 자신들의 역량을 키워 내려는 근대화의 씨앗으로 해석할수는 있지 않을까?  

 

榮譽(영예)의志願兵應募(지원병응모) 七萬九千六百名(칠만구천륙백명)

동아일보 1940.02.13 

영예의 지원병 응모

7만9천 6백명 
함남이 수위로 1만 9백명 중등졸업 200명
4월 각도에서 전형 
영예의 지원병으로서 국민으로서의 충성을 다하겠다고 병문에 운집하는 자가 날로 늘어간다함은 루보하는 바이나 제3차 조선인 육군 특별 지원자 모집에 지난 10일 마감날까지 응모한 자가 전조선을 통하야 7만 9천 600명을 돌파 하였다. 
그중에서 적격자가 3만6천7백11명으로 삼천명 모집 정원에 적격자 만으로도 10배를 넘었고 혈서로 지원한 사람이 110명 중등학교 졸업한 사람이 192명 현직 순사가 1명이 있고 다시 각도별로 보면 지원자 총수로는 함경남도의 1만 9백 1명이 가장 많고 적격자 수로는 전라남도의 4천 6백 3십8명이 많다.

이들 지원자를 가지고 오는 4월에 각도에서 전형시험을 본후에 5월에는 군부에서 증병제에 대한 신체검사등을 실시하고 합격자를 발표하야 7월에 제1회로 1천명을 지원자 훈련소에 입소시켜서 4개월간 훈련을 하기로 되었다.

나머지 2천명도 순차로 4개월씩 훈련을 마친후에 입영시키게 될터인데 제 1회 지원자 1만2천명에 비해 7만9천명으로 일약 26배로 증가된것은 성적이 좋다는 것 보다도 조선인 청년간에 일마나 지원병될 열성이 불타고 있는것을 알수 있다고 한다. 

조선인 육군 특별 지원자 
2월 20일 현재 혈서 중학

 

 

 

요약

상당수 조선 청년들은 일본군으로써 대동아 전쟁에 참여하려 했다.
일제시대 조선본토는 항일정서보다 부일정서가 앞도적으로 높았다. 
역사는 사실대로 받아 들이고 해석하고 평가해야 한다.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리 자카르타 여행 (6박7일)  (0) 2019.10.19
자살에 관한 명언  (0) 2019.10.17
조국 웅동학원 논란 요약  (0) 2019.10.11
약국에서 파스 고르는 방법  (0) 2019.10.10
윤치호의 명언 모음집  (0) 2019.10.09
Posted by ㅤ 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