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드업 (Hold-up) 현상
홀드업현상은 자신이 스스로를 전략적으로 구속하였다가, 역으로 그 약점을 이용당하거나 손해를 보는 상황을 의미한다. 홀드업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좋은 예는 바로 대기업에 부품을 납품하는 하청업체이다.
예를 들어보자. 중소기업인 A업체가 있다. 다른 경쟁업체들과 달리 자기업체는 그 대기업만을 위한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주장하여 하청업체로 발탁을 받았다. 그렇게 하여 일단 부품생산설비를 준비하였고, 그 분야에 전문가들을 R&D 를 위해 고용하였다. 그런데, 그 대기업이 웬걸 갑자기 그 물품 생산을 뒤로 미루기로 한다. 다시 생산하는 것이 언제가 될지도 모르는 상황에, A업체는 다른 기업을 찾다 실패하여 문을 닫게 된다.
자신이 선택받기 위해 더욱 더 자신을 고립시켰는데, 그것이 자신에게 완전한 실패를 가져다주는 경우는 우리 삶에서 흔하다. 빚을 내어 사업을 하는 사람, 바람둥이에게 몸주고 마음주고 돈까지 줬는데 차인 여자, 사법고시에 모든걸 걸었는데 로스쿨이 생겨 경쟁력이 약해진 법학대학생 등등….
홀드업은 전략적 실패에 대한 비용이지만,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현명한 판단을 내렸다면 피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한 점에서 홀드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도박수를 피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어내는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비즈니스와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quity-based Incentive 의 단점 (0) | 2018.12.20 |
---|---|
경제학적 문제와 수정자본주의의 탄생 (0) | 2018.12.20 |
예속전략 (Lock-in strategy) - 경영전략 (0) | 2018.12.20 |
최저가 보상정책의 맹점 - 법으로 잡을 수 없는 암묵적 담합 (Tacit Collusion) (0) | 2018.12.19 |
암묵적 담합 (Tacit Collusion) 의 형성 조건 (0) | 2018.12.19 |